본문 바로가기

자산배분

MDD (MAX drawdown) 최대 손실률에 대한 다른시각

MDD (MAX drawdown) 최대 손실률을 뒤집어 보려고 합니다.

자산배분의 여러 포트폴리오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할때,
우리는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복리수익률) 와 MDD 를 먼저 보게 됩니다. 

그 후에, sharpe ratio, sortino ratio 등을 보게 되죠.
** 샤프비율 ; "위험대비 초과수익률"을 나타냅니다. 1 이상이면 좋게 봅니다.

** 소르티노 비율 ; "하방리스크대비초과수익률" 을 나타냅니다. 숫자가 크면 좋은 ETF 입니다.



우리가 원하는건 
높은 CAGR 입니다. 
그런데, 그걸 고르다 보면, 늘 그에 비례하는 MDD 값을 보게 됩니다. 

쉬운말로, high return, high risk ! 입니다.







또한 이런 그래프도 많이 봅니다. 





개별주식 할때는, 유념해야 겠습니다. 
한번 떨어진 주식이 언제 오를지 알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손절을 강조하는 겁니다.)



하지만, S&P500, 나스닥100 지수는 다르겠죠.
반드시 우상향 한다는 걸 알기 때문입니다. 

500개 기업, 100개 기업을 성적순으로 줄 세우고, 상위 경쟁력 높은 기업들로 매년 교체되니까요.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위 표만 보면, MDD 는 엄청 무섭네요.
그래서 많은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기대하는 거죠.

저는 다르게 생각해 봅니다. 
이런 호기심이 들기 시작합니다. 

왜, 
CAGR 는 전체 기간 누적 숫자인데,
MDD 는 특정시점의 숫자일까?

즉, 
CAGR 은 초딩부터 고딩때까지 항상 전교 1등을 해서, 서울대를 입학한 거면,
MDD는 늘 공부를 안하다가, 고1때만 갑자기 정신차려 올림피아드에 나가서 금메달을 수상 후, 좋은 대학에 입학을 한 경우랑 같습니다. 

그런데, 둘을 1:1 비교합니다. 

 

즉, MDD 는 하루살이고, CAGR은 바다거북 같은 수명을 가지고 있죠.

그런데, 둘을 동일 선상에 놓고 비교 합니다.

 

결국,

기간 누적값을 나타내는 CAGR 이 훨씬 전체를 대표하는 값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에,

MDD 는 '번개가 반짝였던 순간의 공포' 값을 나타내는 겁니다.

 


지난번에도 언급했듯이, 

필자는 CAGR를 우선시 합니다.
근면성실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꾸준함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MDD 를 감수한 만큼, 좋은 CAGR를 기대할 수 있다면, 기껏이 그 포트톨리오를 선택합니다.

아마도, 투자자들 사이의 한계 MDD 는 20~30% 근방 아닐까 합니다.
따라서, 30~40%의 MDD 를 감수 할 수 있다면, 남들이 잘 도전하지 못하는 포트폴리오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만큼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

- 반드시 우상향 할 투자 포트폴리오 라면, 그것의 MDD 는 수업료라고 생각합니다.

적당한 수업료를 지불해야, 기대 수익도 높아지나까요.